Linux 4

ssh 서버 설치와 구동하기

보통 리눅스 배포판을 이용하여 서버를 설치 후에는 초기에 ssh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에 ssh 서버 데몬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절차를 소개합니다. 1. ssh 서버 설치apt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install명령으로 openssh 서버를 설치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2. ssh 서버 실행systemctl 명령을 통해 서버를 실행하고 필요 시 부팅실행을 설정합니다.$ sudo systemctl start ssh # 서버를 지금 실행$ sudo systemctl enable ssh #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2. ssh 서버에 접속ssh 명령을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합니다. 첫 접..

Linux 2025.08.16

bash 스크립트 실행 시 관리자권한 확인하기

작성하는 bash 스크립트가 관리자권한으로 실행되어야할 때 필요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다음의 코드를 이용합니다. #!/bin/bash if [ "$EUID" -ne 0 ];then echo "Please run as root" exit fi # your script code here... effective uid가 0이 아니라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 스크립트를 종료하게 됩니다. 관리자 권한이라면 '# your script code here...' 아래의 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Linux 2022.12.10

리눅스에 설치된 mongodb 외부접속 허용하기

리눅스에 mongodb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외부접속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를 허용하기 위한 방법을 공유합니다. mongodb의 설정파일은 /etc/mongod.conf입니다. 이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설정파일의 소유자가 root이므로 root권한으로 편집기를 열어야합니다. $ sudo nano /etc/mongod.conf "bindIP: 127.0.0.1"을 "bindIP: 0.0.0.0"으로 수정합니다. # mongod.conf # for documentation of all options, see: # http://docs.mongodb.org/manual/reference/configuration-options/ # Where and how to store data. storage..

Linux 2022.03.07

Ubuntu 18.04.5에서 netplan으로 고정IP 설정하기

본 글에서는 Ubuntu 18.04.5에서 netplan을 이용한 고정IP설정을 소개합니다. 우분투 18.04를 설치한 후라면 기본적으로 DHCP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이 경우에 IP가 이따금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 고정IP를 설정해야 합니다. netplan 설정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파일이름은 01-network-manager-all.yaml 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으며, yaml 문법으로 작성되어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설치한 Ubuntu 18.04.5에서의 기본적인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파일의 내용입니다. #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

Linux 2022.03.01